![]() |
|||
|
![]() |
||
![]() |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실과 한국마사회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경 경마장)에 따르면, 한국마사회는 지난해 12월 ‘권역형 순회 경마’ 방식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26년 9월 개장하는 영천경마장은 기존 부경 경마장과 통합 운영되며, 경주마와 인력이 필요에 따라 두 지역을 오가게 된다.
현재 부경 경마장은 금요일과 일요일에 경기가 열리지만, 영천경마장이 문을 열면 연간 7개월 동안 일요일 경기가 영천에서 개최된다. 이에 따라 부경 경마장의 경마 횟수가 줄어들게 되며, 지역에서 징수하는 레저세 역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마사회가 마권 발매 총액의 10%를 지자체에 레저세로 납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올해 부산시와 경남도가 예상하는 레저세 수입 1,096억 원 중 약 200억~300억 원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마사회 측은 이 같은 결정의 배경으로 경마 산업 침체를 꼽았다. 영천경마장은 2009년 마사회 공모사업을 통해 건립이 확정됐으며, 2022년 9월 착공 후 현재 61.6%의 공정률을 기록 중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경마의 인기가 점차 하락하면서 마사회는 재정 문제와 효율성을 고려해 부경 경마장의 경주마를 활용하는 방안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렛츠런파크 관계자는 “경기도 과천과 부산·경남, 제주에서 금·토·일 경마가 진행되고 있는데, 영천경마장을 별도로 운영하면 경주마 자원 확보가 어려워진다”며 “추가로 목요일에도 경기를 열어야 해 경마의 건전성 악화 가능성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이 알려지면서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공모 당시 경북과 영천시는 마사회에 30년간 레저세 50% 감면 혜택을 약속했다. 이에 따라 영천경마장에서 경기가 열릴 경우 마사회는 상당한 세금을 절감할 수 있어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김도읍 의원은 “레저세는 지역 사행산업 운영에 대한 보상인데, 그 이익을 경북·영천과 마사회가 나눠 갖기 위해 편법을 동원한 것”이라며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극비리에 진행한 것은 부산·경남 지역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한국마사회 부산경남 측은 “영천 경마장 사업은 오랜 기간 추진된 사안으로 지역 간 세수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폭넓은 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영천 경마 개최 기본계획이 확정되기 전 이미 부산시와 경남도에 설명을 진행했기 때문에 극비리에 진행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영천경마장 개장을 앞두고 부산·경남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는 가운데, 한국마사회가 어떤 추가 대책을 마련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